몸의 격투없이 깨달음은 없다
상태바
몸의 격투없이 깨달음은 없다
  • 관리자
  • 승인 2016.03.04 0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도상작가의‘인문학으로대종경읽기’10-03


작년에 조계종 교육원장 현응 스님이“부처님은 고행을 통해서도 아니요, 선정을 통해서도 아닌, 논리적인 사유와 성찰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었다. 깨달음은 이해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설법, 토론, 대화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부처님은 가르침을 청할 때 삼매와 선정을 통해 수련하라고 지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선정이나 삼매 없이도 충분히 깨달음이 가능하다”(법보신문 2015.09.05)고 ‘깨달음의 역사 그 후’라는 세미나 기조발제에서 발표했다.



현응 스님의 주장에 전면적이진 않지만 동의할만한 측면이 많다고 생각한다. 현응 스님은 조계종의 전통과는 약간 다르게 선보다는 교를 중심에 놓고 주장을 펼쳤다. 불가(佛家), 특히 조계종에서‘깨달음을 위한 수행은 평생에 걸친 과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한 두해 정도의 수행기간 갖고서는 어디에 명함도 내밀 수 없을 지경이다. 모두들 토굴을 파고(앞에서도언급했지만 근사한 암자를 짓고) 거기에 앉아 십년을 넘겨 수십 년 이상을 참선, 수행해야 겨우‘노장 큰 스님’이 되
는 것이다. 수십 년을 수행해도 부처는 되지 못하고‘노장 큰 스님’에 머물러 있으니 돈오(頓悟)라는 말은 참으로 사전에나 등재되어 있는 단어에 불과할 지경이 되고 말았다.


여기서 주목할 점이 있다. 석가모니부처나 예수, 마호메트, 달마와 원효, 소태산 등은‘늙은 큰 스님’의 시절에 깨닫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들은‘문자의 장난질이나 말(言語)의 요령부득’에 빠지지 않았다. 오로지 몸의 격투를 통해 깨달음에 이르렀다. 그들은 전면적인 격투를 통해‘젊은’나이에 크게 깨달았던 것이다.


선가(禪家)에서는 깨달음의 순간을 ‘한 소식을 했다’고 표현한다. 한 소식이란 어떤 것에 대한 소리를 들었다는 뜻이다. 「반야심경」은 부처와 사리자의 이야기며,「금강경」은 부처와 수보리와의 이야기며, 「능엄경」은 부처와 아난타와의 이야기다. 심지어 그리스도교의「성경」도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달마는「무심론」에서“가짜로 두 사람을 만들어 무심을 함께 말하도록 하겠다”고 하였다. 「대종경」은 소태산의 쉬운 이야기다.


‘모든 소식은 이야기에서 온다’, 현응 스님은 이런 말을 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소태산은 삼학과 삼대력 그리고「대종경」읽기를 통해 중생들이 견성하고 자리이타의 부처가 되기를, 생활속의 대승적 돈오가 실현되기를 소망했다. 그 소망이 현실로 드러난 것이 원불교이다. 하지만 삼학과 삼대력의 공부법이 아무리 쉬운 말로 풀이되어 있어도 몸의 격투를 하지 않으면, 깨달음은 오지 않는다.


삼학과 삼대력의 수행법을 청산유수의 말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자라고 해도 몸으로 낱낱이 실행하지 않았다면그저 문자를 읽은 사람에 불과할 것이다. 실행과 격투, 여기에서 삶이 갈라지고 달라진다. 문자로만 익히고 실행과 격투가 없다면 끝내 중생으로 남아 생의 고뇌와 함께 여러 번의 생을 반복할 것이다.


다시 강조하거니와 소태산은 원불교를 출세간을 아우르는, 말 그대로 대승불교이기를 원했다. 지난 100년의 노력으로 원불교는 불법의 큰 수레바퀴를 굴려가는, 세속에 뿌리내린 생활적 대승불교의 회상이 되었다. 지나온 100년은 지나간 것이다. 원불교는 100년의길을 지나 천년의 문으로 들어섰다. 천년의 문을 무엇으로 열 것인가? 소태산은 그 대답을「대종경」에 남겨 놓았다.


그러나 뼈아프다. 이 좋은 법에 관심을 둔 청년과 청소년들이 너무 적다. 인과품에서 소태산은‘농부가 봄에 씨 뿌리지 아니하면 가을에 거둘 것이 없나니’라고 했다. 청년과 청소년들은 봄의 씨앗들이다. 청년과 청소년들에게 이 법을 쉽게 그리고 매력적으로 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새로운 백년의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봄에 씨를 뿌리지 않은 밭에서 가을에 무언가를 추수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허공법계가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 이것으로 <대종경> 서품이 끝났습니다.
이어서 교의품을 읽어나갈 예정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