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길 법문] 일원상 법어
상태바
[지름길 법문] 일원상 법어
  • 라도현 교도
  • 승인 2021.11.09 02:18
  • 호수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우의 지름길 법문 3
라도현 교도<br>​​​​​​​화정교당<br>
라도현 
화정교당 교도

 

○ 이 원상은 눈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이 원상은 귀를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이 원상은 코를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이 원상은 입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이 원상은 몸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이 원상은 마음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일원상 장(章)에서 ‘게송’을 제외하고 맨 끝에 나오는, 가장 쉽고 간결하게 정리된 법어입니다. 위 법어에서 바로 알 수 있는 것은, 이 원상(○)은 ‘쓰는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일원상은 본디 모시고 받드는 대상이 아닙니다. 이 세상에 그 어떤 것도, 우리가 우러러 받들면서 또한 사용하는 것은 없습니다.

이 원상은 옛적에 태양을 숭배하듯이, 하느님을 우러르듯이 그렇게 숭배하라고 그려놓은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우리 각자의 성품으로서, 일상에서 이것을 온전하게 쓰라고 내놓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원상을 높은 곳에 올려두고 밖으로 부처님을 대하듯이 하는 것은, 사실 본래의 의미와는 다른 것입니다. 저 일원상은 우리 자신들의 참모습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자, 이 원상은 내가 눈을 사용할 때 쓰는 것입니다. 이 원상은 ‘아무 데도 물들지 않은’ 나의 본래 마음이니, 내가 사물을 볼 때는 ‘아무 데도 물들지 않은’ 그 눈으로 보면 됩니다. 그것은 ‘망념이 없고 분별 주착 없는’ 그 마음으로 보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되면 ‘원만 구족’하고 ‘지공 무사’한 자성의 특성이 이미 그 속에 (들어가) 있습니다.

이 원상은 또한 귀를 사용할 때 쓰는 것입니다. 이 원상은 ‘아무 데도 물들지 않은’ 나의 본래 마음이니, 내가 소리를 들을 때에도 ‘아무 데도 물들지 않은’ 그 귀로 들으면 됩니다. 이 말은 ‘망념이 없고 분별 주착 없는’ 그 마음으로 듣는다는 뜻입니다. 그리하면 원만 구족하고 지공 무사한 성품의 작용이 저절로 나타납니다.

이렇게 이 원상을 코, 입, 몸, 마음을 사용할 때 쓰라는 것입니다. 마음을 사용할 때는 뭔가 다른 점이 있을까요? 아닙니다. 마음을 사용할 때도, 즉 생각하고 판단하며 그것을 몸으로 작용시킬 때에도 ‘아무 데도 물들지 않은’ 마음으로 한다는 말입니다. 우리 무시선법에서는 이것을 가리켜 ‘주한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원상(○)은 우리 각자가 지닌 것이며, 지금 당장 쓰는 것입니다. 이렇게 쓰는 것인 줄을 모르고 있었다면 그동안 잘못된 공부를 해온 것입니다. 일원상은 우리의 본성입니다. 타자화(他者化)하거나 신성시하는 것이 일원상의 참뜻이 아닙니다.

11월 12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